IT 썸네일형 리스트형 FDM 3D프린터의 압출 방식 구분 (직결식/보우덴) FDM 방식의 익스트루더는 핫엔드와 콜드엔드가 결합된 채로 움직이는 직결식(Direct extruder)와 떨어져 있는 구조인 보우덴 (Bowden) 방식이 있다. 1. 직결식 (Direct Extruder) 2. 보우덴 (Bowden Extruder) 직결식과 보우덴 방식의 차이 직결식(Direct extruder)과 보우덴 (Bowden) 방식의 차이를 표로 정리해보았다. 직결식 익스트루더 보우덴 방식 익스트루더 필라멘트 공급 안정적이며 쉽다 불안정하고 어렵다 출력속도 느림 빠름 안정성 진동 큼 진동 작음 정비성 쉬움 어려움 사용 재료 큰 제한 없음 쉽게 부러지거나 플렉시블한 소재는 사용하기 어려움 더보기 FDM 3D프린터의 헤드, 베드 축 구분 (XZ-Y/XY-Z/XYZ) 먼저 Cartesian (카르테시안)과 Delta (델타) 방식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둘의 차이점은 이전 포스트에서 정리해두었다. https://blog.wookingwoo.com/19 FDM 3D프린터의 구동 방식 (카르테시안/델타/스카라) FDM방식의 3D 프린터는 구동 방식에 따라 다시 카르테시안(직교), 델타, 스카라로 나눌수 있습니다. 프린터 헤드의 이동 방식의 차이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1. Cartesian (직교) - 직교좌표계를 사용하 blog.wookingwoo.com 카르테시안의 경우 베드의 움직임에 따라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베드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프린터와 Z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프린터 방식으로 나뉜다. 이를 각각 XZ-Y 방식, XY-Z 방식이라고 부른다.. 더보기 FDM 3D프린터의 구동 방식 (카르테시안/델타/스카라) FDM방식의 3D 프린터는 구동 방식에 따라 다시 카르테시안(직교), 델타, 스카라로 나눌수 있습니다. 프린터 헤드의 이동 방식의 차이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1. Cartesian (직교) - 직교좌표계를 사용하는 방식의 프린터 - 직교좌표계는 직교하는 세개의 축 위에 있는 세 점의 교점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좌표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2. Delta (델타) - 3개의 팔을 움직여 출력한다. - 가벼운 헤드로 인한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3. Sara (스카라) - 로봇팔 방식 - 사용자층이 적으며 입문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더보기 인쇄 방식에 따른 3D 프린터의 종류 (FDM/FFF/SLA/DLP/SLS/PBP/Polyjet/MJM) 3D 프린터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3D 프린팅을 하기 위한 재료는 크게 고체 타입, 액체타입, 분말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고체 타입에서는 주로 필라멘트가 쓰이고 FDM 혹은 FFF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액체타입에서는 레진을 이용하며 특정 빛을 통해 굳혀 사용한다. SLA, DLP, LCD 등의 방식이 있다. 분말 타입은 파우더를 굳혀 사용하며 SLS 방식이 있다. 아직까지 가정용이나 입문용으로는 FDM 혹은 FFF 방식이 가장 합리적인 것 같다. (FDM과 FFF는 용어의 차이이지 같은 방식을 뜻한다.) 아래에는 각각의 방식을 좀 더 자세하게 정리했다. 1.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 응용 적층 모델링, .. 더보기 OneDrive(원드라이브) 사용 용량 확인 방법 Office 365 Education을 사용하면 원드라이브 1TB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글 드라이브와는 달리 원드라이브의 "내 파일" 페이지에서는 전체 사용 가능 용량과 사용 중인 용량이 표시되지 않는다. 아래와 같이 이동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설정 -> OneDrive 설정 -> 기타 설정 -> 저장소 메트릭 전체 사용량과 세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구글 드라이브처럼 메인 페이지에서도 전체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더보기 구글 주소록 생일 폼 유효성 검사 이슈 (yyyy/mm/dd -> yyyy년 mm월 dd일) 2022.10.01 작성 [결론] "yyyy/mm/dd" (X) "yyyy년 mm월 dd일" (O) 구글 주소록을 관리하던 중 생일을 입력해야 할 일이 생겼다. 위의 사진과 같이 yyyy/mm/dd 형식으로 입력하는 것으로 가이드가 나와있다. 하지만 "날짜가 잘못되었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와 함께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다. 위와 같이 "yyyy년 mm월 dd일"의 날짜 형식을 사용하면 유효성 검사가 통과되며 정상적으로 저장이 된다. 오늘 날짜로 테스트해보니 날짜타입을 정상적으로 읽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 구글 연락처에서 수정이 필요해 보이는 부분이다. 2023.02.14 추가 2023.02.14 기준 구글 연락처를 사용 중 가이드가 위와 같이 "yyyy년 MM월 dd일"로 바뀐 것을 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