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AWS] CloudFormation 템플릿 구조 Cloud Formation이란? AWS 리소스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IaC 도구입니다. 코드로 형식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재사용에 유리합니다. 템플릿 구조 템플릿은 AWS 인프라를 설명하는 JSON 또는 YAML 형식의 텍스트 파일입니다. 다음 예제에서는 템플릿 구조 및 관련 섹션을 보여줍니다. JSON 아래는 JSON 형식의 템플릿 구조입니다. 더보기 { "AWSTemplateFormatVersion" : "version date", "Description" : "JSON string", "Metadata" : { template metadata }, "Parameters" : { set of parameters }, "Rules" : { set of rules }, "Mappings" : { set.. 더보기
카카오 먹통사태로 알아보는 고가용성, 장애내구성, 재해복구의 차이 고가용성, 장애 내구성, 재해복구가 비슷한 어감으로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 보고자 한다.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장애 상황을 해결하고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 장애 내구성(Fault Tolerance): 장애 상황에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 재해 복구 (Disaster Recovery): 장애 상황에서 정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복구하는 것 최근 '카카오 먹통 사태'를 예로 들어보겠다.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한 곳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카카오 계열 서비스들이 동시에 오랜 시간 동안 중단되었다. 이는 장애 내구성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장애 내구성이 지켜졌다면, 데이터센터 한.. 더보기
[알고리즘] 회의실 배정 문제의 여러가지 풀이법 (Brute-Force, 분할정복, DP, 그리디) 회의실 배정 문제 회의실 배정 문제를 여러 가지 알고리즘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문제의 상황은 아래와 같다. 실생활에서 자주 마주할만한 상황이라 재미있다. 회의실은 1개인데, n개의 회의가 있다. 이때 하나의 회의실에서 최대한 많이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스케줄을 잘 짜 보는 것이다. (문제에서 S는 회의 시작시간, F는 회의 종료시간으로 주어진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시간표를 어떻게 짜야 가장 많은 회의를 배정할 수 있겠는가? 한번 생각해보자. 백준 1931번에 비슷한 문제가 있으니 참고해도 좋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 더보기
[오라클 클라우드] 회원가입 지급검증(카드인증) 실패 오류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의 스펙은 다른 곳과 비교했을 때 압도적으로 어마 무시하다. 서비스별 클라우드 무료 제공량은 아래의 포스팅에서 정리했다. https://blog.wookingwoo.com/30 서비스별 클라우드 서버 평생 무료, 크레딧 제공 정리 토이 프로젝트 등 개발을 하다 보면 배포와 테스트를 위해 라이트 한 서버가 필요한 경우들이 생긴다. 가볍게 사용하는 용도에서 돈을 내고 서버를 구성하기에는 아까운 마음이 든다. 이번 기회 blog.wookingwoo.com 오라클 클라우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당연히 먼저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회원가입 시에는 다른 서비스들과 다르지 않게 카드 인증절차를 거치게 된다. 다만 오라클의 좋은 점은 유료계정으로 별도로 전환하지 않는 이상은 별도로 .. 더보기
프로펠러 사이즈에 따른 FPV 드론의 구분 (2인치~7인치) FPV 드론은 프로펠러 크기별로 구분을 하는데 아래와 같이 2인치부터 7인치까지 다양한 종류의 드론들이 있다. 2인치 2.5인치 3인치 3.5인치 4인치 5인치 6인치 7인치 5인치에 포인트를 조금 주어봤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사이즈이기 때문이다. 5인치 드론은 풀사이즈 고프로를 달고 비행을 해도 퍼포먼스가 잘 나오기 때문이다. 이보다 작은 드론에 고프로를 달면 본인의 능력과 노오력에 따라 가능은 할 수 있지만..ㅎㅎ 드론이 조금(?) 힘들어한다. 물론 요즘에는 소형 액션캠들도 많이 출시되어 5인치 미만의 드론을 입문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좋은 환경인 것 같다. 인스타 360 go2나 드론용으로 나온 caddx peanut도 있으니 작은 드론에 카메라 촬영까지 원한다면 찾아보길 추천한다. 그렇다면 F.. 더보기
[드론] RC 조종기 짐벌 방식 (포텐시오미터, 홀센서) RC 조종기 (송신기)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커다란 박스형태도 있으며, 요즘에는 조이스틱 형태로도 많이 나온다. 위의 두 형태 모두 손가락으로 조종하는 스틱이 있는데 이를 짐벌(gimbal)이라고 부른다. 카메라 짐벌에서 많이 들어보았을 텐데 짐벌(gimbal)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물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물을 뜻한다. 이 짐벌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포텐시오미터 방식 (Potentiometer)과 홀센서 방식 (Hall Sensor)이다. 드론 조종기를 구입하기 전 이 차이를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홀 센서 방식이 더 좋고 비싸다. 1. Potentiometer (포텐시오미터, 가변저항) Potentiometer는 우리말로 전위차계, 분압기 등이 있지만 .. 더보기
[AWS] AWS 서비스 네이밍: Amazon과 AWS의 차이 AWS의 서비스의 풀네임은 긴 영문(?)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EC2는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이다. 앞선 예시와 같이 서비스의 이름앞에는 대부분 Amazon 혹은 AWS가 접두사 형태로 붙는데 문득 그 네이밍의 차이점이 궁금해졌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AWS: 다른 서비스와 연계되어 사용하는 utility service Amazon: 단독으로 독립적으로 실행할수있는 standalone service 예시로는 아래와 같다. 1. Amazon Amazon EC2 Amazon Lightsail Amazon S3 Amazon RDS Amazon DynamoDB Amazon ECS Amazon Route 53 Amazon CloudWatch Amazon API Gate.. 더보기
[알고리즘] 최소 신장 트리(MST, Minimum Spanning Tree)와 Kruskal, Prim 알고리즘 Spanning Tree (신장 트리) 란? Spanning Tree (신장 트리)란 무방향 그래프에서 n개의 모든 정점과 n-1개의 간선으로 만들어진 트리이다. 무방향 그래프란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로 그림상에서 화살표가 아닌 실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를 뜻한다. 즉, Spanning Tree는 최소의 간선을 이용하여 모든 정점을 연결한 그래프이다. 너비 우선 탐색을 이용하여 생성된 신장 트리를 BFS (Breath First Spanning tree, 너비 우선 신장 트리)라고 하고, 깊이 우선 탐색을 이용해 생성된 신장 트리를 DFS (Depth First Spanning tree, 깊이 우선 신장 트리)라고 한다. Spanning tree는 최소의 도로를 이용한 도로망 건설이나 최소의 네트워크선을 이..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