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OT

[Home Assistant] Zigbee2MQTT 2.0.0 업데이트 후 USB 어댑터 인식 오류 해결기 Home Assistant를 쓰면서 그동안 core 한 add-on들은 업데이트를 미루고 있었다.사용하는 에드온이 많아지다 보니 하나하나 버전업하는 것도 귀찮았고, 무엇보다 '잘 돌아가는 건 건드리지 말자'는 마음이 컸다. 😅그런데 오늘은 왠지 마음이 땡겨서, 오랜만에 모든 애드온을 한 번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그리고... 두둥. 마주하고 싶지 않던 문제가 터졌다. 이번에 문제가 생긴 주인공은 Zigbee2MQTT였다.Zigbee2MQTT를 1.38.0-1 버전에서 2.2.1-1로 업데이트했더니, Zigbee USB 어댑터를 인식하지 못하는 이슈가 생긴 것이다.Zigbee2MQTT는 Zigbee 장치들을 Home Assistant 같은 스마트홈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중간다리 역.. 더보기
샤오미 스마트 선풍기 Home Assistant에 추가하기 2024년 여름의 시작여름이 되어 묵혀두었던 샤오미 스마트 선풍기를 꺼냈다.내가 사용하는 선풍기는 아주 오래전에 구입한 'Smartmi 스탠드 선풍기 3'인데, 이때는 한국에 수입이 되기도 훨씬 전이었고 중국 직구로 구입했었다. 처음에는 mi home 에서 와이파이로 연결하여 잘 사용하다가 어느 순간 한국 지역에서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왜일까? 무섭..) 다시 중국 서버로 등록하여 잘 사용했지만 어느 순간부터 중국서버 우회도 막히곤 하였다. 근데 앱에서 이거 막는것도 좀 느려서 앱 키자마자 빠르게 조작하면 짧게나마 사용 가능하기도 했다ㅎㅎ위젯 설정은 또 안막히기도 했고..ㅎ 매년 여름마다 이런저런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올해 다시 등록해 보니 이제 한국에서도 공식 지원을 하는 것 같다. UI도 예뻐지고 사.. 더보기
Zigbee Dongle 구매기 (ZBDongle-P vs ZBDongle-E) 홈 어시스턴트 서버로 사용 중인 라즈베리파이와 NAS에서 zigbee를 사용하기 위해 zigbee 동글을 구매하기로 했다.CC2531이 가장 저렴하기도 하고 보편화되었던 모듈인데, 필자는 최신 칩셋인 CC2652P를 사용하고자 한다.아래 사이트를 참고하면 Zigbee2mqtt에서 추천하는 칩셋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저렴하게 구매를 원한다면 CC2531도 추천한다. (알리에서 5불이면 구매가능) https://www.zigbee2mqtt.io/guide/adapters/#recommended Supported Adapters | Zigbee2MQTTSupported Adapters All officially supported adapters are listed on this page. Note that.. 더보기
프로펠러 사이즈에 따른 FPV 드론의 구분 (2인치~7인치) FPV 드론은 프로펠러 크기별로 구분을 하는데 아래와 같이 2인치부터 7인치까지 다양한 종류의 드론들이 있다. 2인치 2.5인치 3인치 3.5인치 4인치 5인치 6인치 7인치 5인치에 포인트를 조금 주어봤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사이즈이기 때문이다. 5인치 드론은 풀사이즈 고프로를 달고 비행을 해도 퍼포먼스가 잘 나오기 때문이다. 이보다 작은 드론에 고프로를 달면 본인의 능력과 노오력에 따라 가능은 할 수 있지만..ㅎㅎ 드론이 조금(?) 힘들어한다. 물론 요즘에는 소형 액션캠들도 많이 출시되어 5인치 미만의 드론을 입문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좋은 환경인 것 같다. 인스타 360 go2나 드론용으로 나온 caddx peanut도 있으니 작은 드론에 카메라 촬영까지 원한다면 찾아보길 추천한다. 그렇다면 F.. 더보기
[드론] RC 조종기 짐벌 방식 (포텐시오미터, 홀센서) RC 조종기 (송신기)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커다란 박스형태도 있으며, 요즘에는 조이스틱 형태로도 많이 나온다. 위의 두 형태 모두 손가락으로 조종하는 스틱이 있는데 이를 짐벌(gimbal)이라고 부른다. 카메라 짐벌에서 많이 들어보았을 텐데 짐벌(gimbal)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물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구조물을 뜻한다. 이 짐벌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나뉜다. 포텐시오미터 방식 (Potentiometer)과 홀센서 방식 (Hall Sensor)이다. 드론 조종기를 구입하기 전 이 차이를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홀 센서 방식이 더 좋고 비싸다. 1. Potentiometer (포텐시오미터, 가변저항) Potentiometer는 우리말로 전위차계, 분압기 등이 있지만 .. 더보기
드론 촬영 기술: POI (Point Of Interest) 드론 촬영을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그중 멀티콥터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방식 중의 하나인 POI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POI는 Point Of Interest의 약자로 관심점이라는 뜻이다. 피사체를 중심에 두고 원을 그리며 비행하는 기술이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나오는 (비싼) 드론들은 대부분 자동 POI 기능을 제공해준다. 이쯤 되면 웬만한 상황에 서는 자동 비행의 결과물이 훨씬 좋아 보이는 건 사실인 것 같다. 하지만 좀 더 디테일한(?) 비행과 촬영을 즐기고 싶으면 수동으로 비행할 수 있는 것도 좋다. 그렇다면 POI는 어떻게 조작할까? Atti Mode (애티 모드)에서는 크게 어렵지 않다. 위의 그림과 같이 Roll(에릴러런)의 움직임을 .. 더보기

728x90